칼럼:원목사와 함께 목회하는이야기
HOME > 목회자코너 > 칼럼:원목사와 함께 목회하는이야기
지난 몇 달간 여러 차례 [확신의 삶] 과정을 인도했습니다. 몇 분의 목자 목녀로 시작했는데, 나중에는 상당수의 초원지기 내외가 동참하였습니다. 7주간이라는 짧은 기간이 정해져있지만, 그 보다 훨씬 더 긴 시간을 함께 보낼 수도 있습니다. 본래 일대일로 하는 공부이지만, 각 목장에서 바로 시작할수 있도록 소그룹으로 일주일에 두 반 진행하였습니다. 이 기간 동안 제 마음을 떠나지 않는 생각들이 있었습니다. 하나는 [기본다지기]이며, 다음은 [멘토]였습니다. 이것들은 확신의 삶의 키워드와 같은 것입니다. 이미 전문가가 될 정도로 오래된 사람들에게 기본 이야기는 다소 우습기도하고, 또한 지금까지 잘해왔는데, 이제와서 무슨 기본기 다지기냐는 어설픈 생각이 들 것입니다. 하지만 든든한 기본 위에서만 제대로, 그리고 지속적으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말아야 합니다.
멘토에 대한 생각은 여전히 제 안에 맴돌고 있습니다. 사람들은 인생 살아가는 길에서 앞서가는 어느 누군가에게 길을 묻고 갑니다. 그러나 앞서가는 사람이 많다해도 아무에게나 묻지는 않습니다. 인생길에 대한 지혜 있는 사람에게 묻습니다. 또한 지혜 많다고 다 묻지는 않습니다. 신뢰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. 그러기 위해서는 나와 인격적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사람이어야 하는데, 성도에게는 신앙인격적 관계가 형성된 사람이어야 합니다. 이런 사람이 나에게 있다면 그 사람이 바로 나의 멘토라 할 수 있습니다. 이 때, 길을 인도하는 사람을 멘토(Mentor)라 하고, 길을 인도받는 사람을 멘티(Mentee)라 하는데, 멘토는 내가 너의 멘토가 되겠다 해서 되는 것 아닙니다. 누군가 나에게 멘토가 되어달라고 할 때, 멘토 멘티 관계가 형성됩니다.
Comment 0
No. | Subject | Author | Date | Views |
---|---|---|---|---|
5 | 건강한 교회의 건강한 기증헌물 문화 만들기 | admin | 2012.08.14 | 7029 |
4 | 감사헌금 제목이나 내용은 자세할수록 좋습니다. | admin | 2012.08.06 | 11340 |
3 | 교육 발런티어 찾는 일은 이렇습니다. | admin | 2012.07.30 | 5939 |
2 | 휴스턴에서 한 주간 | Admin | 2012.07.25 | 5836 |
» | 나의 목자 목녀는 나의 멘토입니다. | 신한승 | 2012.07.21 | 6033 |